2022 피보험 단위 기간 계산 X 조회하는 방법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피보험자가 이직 전 18개월 동안의 피보험 단위 기간이 180일 이상이어야만 구직급여 수급요건을 충족하게 됩니다. 피보험 단위 기간의 구체적인 의미와 피보험 단위 기간 계산 및 조회하는 방법을 궁금해하는 경우가 많아 이번 포스팅에는 이에 대해 설명하려고 합니다.

23년 8월 업데이트 |계산 1분 소요

피보험 단위 기간 계산?

피보험 단위 기간은 실제로 보수 지급의 기초가 된 날을 모두 합산한 기간으로 유급휴가, 유급휴일 (연차, 월차) 등은 포함, 무급휴일, 보수가 지급되지 않는 결근일(무단결근) 등은 제외합니다.

통상적으로 토요일은 무급휴일(제외), 일요일은 유급휴일(포함) 하지만 근로계약서상에 토요일도 유급휴일이라면 토요일도 피보험 단위 기간에 포함됩니다. 일반적으로 7~8개월 정도 근무를 하면 180일을 넘깁니다.

아! 나는 모르겠다! 피보험 단위 기간 계산은 못하겠고 며칠 인지만 알고 싶다! 아래에서 바로 조회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피보험 단위 기간 확인 방법

피보험 단위 기간을 알아내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고용보험 홈페이지와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보험 토탈 서비스에서 [이직확인서 처리 여부 조회]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준비물로는 공동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하단의 그림과 설명을 차례대로 따라 하시길 바랍니다.

1.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접속

하단의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를 클릭하여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공동인증서 로그인

홈페이지 우측 상단 개인 ▷ 일반 근로자 체크 공동인증서로 로그인 해줍니다.

피보험 단위기간 계산 로그인

3. 정보조회하기

메인화면 상단 메뉴인 ①개인을 클릭하고 ②정보조회 메뉴를 클릭합니다.

피보험 단위 기간 계산 확인방법

4. 피보험 단위 기간 확인

좌측 정보 조회 메뉴에 ③민원 조회를 클릭하고 ④이직확인서 처리 여부 조회 클릭하면 이직 사유와 ⑤피보험 단위 기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용직 피보험 단위 기간 조회 방법

일용직 근로자의 경우 고용형태의 특성상 유급휴일이 있는 상용 근로자와 달리 실제 근로를 제공한 날만 피보험 단위 기간에 포함하게 됩니다. 일용직 피보험 단위 기간 조회는 고용·산재보험 토탈 서비스에서 [고용·산재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를 조회하는 방법입니다. 준비물로는 공동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하단의 그림과 설명을 차례대로 따라 하시길 바랍니다.

1.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접속

하단의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를 클릭하여 접속합니다.

2. 공동인증서 로그인

홈페이지 우측 상단 개인 ▷ 일반 근로자 체크 공동인증서로 로그인 해줍니다.

3. 증명원 신청발급 메뉴 접속

메인화면 우측 상단 메뉴인 ①개인을 클릭하고 ②증명원 신청/발급 메뉴를 클릭합니다.

4. 근로일수 확인하기

좌측 증명서 신청/발급 메뉴에서 ③고용·산재보험 자격 이력내역서 클릭하고 ④조회 구분에서 일용에 ☑체크합니다. ⑤조회 버튼을 클릭하고 ⑥근로일수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피보험 단위 기간 계산 자주하는 질문

q1. 이직확인서를 조회해보니 피보험 단위 기간이 177일로 되어 있는데요. 제가 계산했을 때 180일 이상이 되는데 어떻게 해야 되나요?

180일을 겨우 충족하는 경우 회사에서 피보험 단위 기간을 잘못 계산했을 수도 있습니다. 근로자가 회사에 정정 신고 요청해야 합니다.

q2. 퇴직을 했는데 왜 이직확인서를 조회하나요?

이직확인서에 이직이란 단어는 회사를 옮긴다는 뜻이 아닌, 떠날 이(離) 자를 써서 ‘직업을 잃거나 직장을 떠난다’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q3. 피보험 단위 기간을 계산할 때 휴일에 근로한 날이 포함 되나요?

피보험 단위 기간은 유급일 기준으로 휴일에 근로했다면 피보험 단위 기간에 포함됩니다. 또 법정 공휴일에 유급으로 쉰 경우 근로자가 연차휴가를 사용한 날도 유급이 보장되는 날이기 때문에 피보험 단위 기간에 포함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q4. 회사에서 이직확인서를 발급을 안 해주고 있습니다.

이직확인서 발급 요청을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 이직확인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1차 과태료 10만 원이 부과되며, 2차 위반 시 20만 원, 3차 위반 시 30만 원이 부과됩니다.

지금까지 피보험 단위 기간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현지 피보험 단위 기간이 180일이 넘어 구직급여 수급요건에 해당된다면 실업급여 신청방법으로 넘어가시길 바랍니다.